분류 전체보기(19)
-
스파르다 코딩클럽 개발일지 SQL 정리
데이터베이스 여러 사람에 의해 공유되어 사용될 목적으로 통합하여 관리되는 데이터의 집합 [네이버 지식백과] 데이터베이스 [data base]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데이터베이스는 CRUD에 해당하는 기능을 지원 C (Create): 데이터의 생성 R (Read):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오는 것 U (Update): 저장된 데이터를 변경 D (Delete):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 SQL : Structured Query Language SQL 쿼리를 작성한다 select 데이터를 가져와줘 (select * from 테이블명 where select 쿼리문에서 가져올 데이터에 조건을 걸어줌 and 조건 추가 같지 않음 : != 범위 : between 포함 : in 패턴 : like 일부만 : l..
2022.11.21 -
스파르타 코딩클럽 개발일지 SQL 2주차
Group by , Order by 수많은 데이터 속에서 내가 원하는 데이터를 추출했을 때 동일한 데이터를 묶어서 통계를 내는 group by.. 숙제도 잘 했습니다. 처음보다는 이게 뭔지는 좀 알게 되었어요.
2022.11.17 -
스파르타 코딩클럽 개발일지 SQL 1주차
데이터를 불러오기 (Select) : 데이터를 선택해서 가져오겠다 조건에 맞게 필터링 (Where) : Select 쿼리문으로 가져올 데이터에 조건을 걸어주는 것 select * from 테이블명 where 조건 여러 조건은 and '같지 않음' 조건은 != '범위' 조건은 between '포함' 조건은 in '패턴' 조건은 like 데이터를 범주에 따라 묶어서 통계치 구하기 (Group by) 정렬하는 것 (Order by) 여러 데이터를 합쳐서 분석하기 (Join) 쉽고 깔끔하게 원하는 데이터를 얻기 (Subquery) 일부 데이터만 가져오기: Limit 중복 데이터는 제외하고 가져오기: Distinct 몇 개인지 숫자 세보기: Count
2022.11.15 -
임대차 계약 만기, 묵시적 갱신 자동 연장
"계약기간이 3개월 뒤면 끝나요. 나갈 거에요." "계약기간이 끝났는데, 계속 살아도 되나요?" "계약기간이 끝나가는데, 나갈거에요." 3개의 사례는 각각 다르다. 첫 번째 " 계약기간이 3개월 뒤면 끝나요, 나갈 거예요."라는 만기 전 퇴실 통보를 함으로써 만기 때 보증금 반환을 하게 된다. 두 번째 "계약기간이 끝났는데, 계속 살아도 되나요?"는 이미 계약서에 명시된 기간은 끝이 난 것이고, '자동 연장'된 경우다. 이럴 경우, 계약서 조건 그대로 연장이 된다. 또한 재계약 시 작성을 요구할 수 있다. 그렇다면 다시 새로운 만기 날짜가 적힌 계약서를 새로 작성하는 것이다. 세 번째 "계약기간이 끝나가는데, 나갈 거예요."라는 남은 기간을 잘 봐야 한다. 만약 한 달 이전이라면 자동 연장이 ..
2022.04.28 -
주거의 형택 (주택의 분류)
우리는 보통 아파트, 빌라, 단독주택, 다세대주택에 살고 있다. 최근 1인 가구가 늘어나면서 오피스텔, 원룸도 많이 늘어난 추세이다. 오늘은 주택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주택이란, 세대의 구성원이 장기간 독립된 주거생활을 할 수 있는 구조로 된 건축물의 전부 또는 일부 및 그 부속 토지를 말하며, 이를 단독주택과 공동주택으로 구분한다. (주택법 제2조 제1호) (1) 단독주택 (구분소유권 등기 불가) 단독주택 - 1세대가 하나의 건축물 안에서 독립된 주거생활을 할 수 있는 구조된 주택 - 면적의 제한이 없다. 다중주택 - 학생 또는 직장인 등 여러 사람이 장기간 거주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 - 독립된 주거의 형태를 갖추지 아니한 것( 각 식별로 욕실은 설치할 수 있으나, 취사..
2022.04.27 -
주택(부동산) 소유하는 방법
*집을 소유하는 방법 크게 집을 소유하는 방법은 3가지가 있다. 1. 매매 2. 증여 및 상속 3. 경매(공매) 1. 매매 (그냥 사는 것)(분양도 매매에 속한다) 내게 5억이란 돈이 현금으로 있지 않은 이상 대출을 받고 매매를 한다. 그리고 다달이 이자를 납부 한다. 또 실거주 목적이 아닌, 투자의 목적이라면 전세나 월세를 끼고 보증금을 받아 매매계약서와 임대차계약서 2부를 작성하고 집을 소유할 수 있다. 하지만 두 번째의 경우는 임차인이 나가게 되면서 보증금을 다시 돌려줘야 할 때, 임차인이 구해지지 않으면 보증금을 구하려고 다시 대출을 받아야 할 상황이 온다. 2. 증여 및 상속 (부럽다) 증여세, 상속세를 납부하게 된다. 주의해야 할 점은 내가 만약 주택을 소유하고 있는 상태에서, 증여 및 상속으..
2022.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