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과

경영학원론-경영자의 정의

신과장님 2022. 1. 11. 11:11
728x90

1절 경영자에 대한 이해

1.경영자의 정의 및 중요성

 

(1) 경영과 경영자의 관계

경영은 기업의 비전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계획하고 실행하고 이를 평가하는 일련의 동태적 과정이다. 그러나 비 인격체인 기업은 이와 같은 활동들을 스스로 수행하지는 못한다. 그래서 기업의 방향을 결정짓고 경영활동을 직접 수행하는 주체가 있어야 하며, 이러한 역할을 담당하는 인격체가 바로 경영자이다. 따라서 경영자는 경영을 총괄하면서 경영에 대한 책임을 지게 된다.

 

(2)경영자의 중요성

경영자는 기업 내 구성원의 역할 및 행동을 규정하는 사람으로서 기업경영에 없어서는 안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왜냐하면 사회는 조직 없이 움직일 수 없고, 조직은 경영자 없이 그 어떤 것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여러 사람이 공동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 조직이며, 조직의 방향을 결정하는 사람이 바로 경영자다.

 

(3) 경영자의 정의

경영자의 대한 정의는 다양하다. 경영자는 조직체의 전략, 관리 및 운영활동을 능동적으로 주관하는 사람 또는 타인 활동을 조정하고 여러 조직이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하고 조정기능을 수행하는 사람 등으로 여러 가지 분류기준에 따라 경영자 유형도 달라진다. 예컨대, 경영자를 최고경영자, 중간경영자, 하부경영자로 구분하는 것은 경영자를 수직적 위계에 따라 분류한 것이다.

 

2.경영자의 유형

 

(1)수직적 위계에 따른 분류

각 수준별 경영자는 책임정도와 속성에 따라 역할이 다르다. 즉 경영자는 자신의 위치에 따라 역할과 책임이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 그림  5-1>  수직적 위계에 따른 분류

 

1)최고경영자 (top manager)

최고경영자에 속하는 사람은 최고경영자 (CED; chief financial officer) 임원(COO; chief operating officer; 영업담당임원, CFO; chief financial officer; 재무담당 임원, CIO; chief information officer; 정보담당 임원, CDO; chef design officer; 디자인담당 임원, CKO; chief knowledge officer; 지식담당 임원) 등이 포함된다. 이들의 주요 책임은 기업의 중장기 목표와 전략의 결정, 회사방침과 비전의 설정, 사회적·법률적으로 우호적인 관계의 형성 등에 대한 것이다.

 

 

2) 중간경영자 (middle manager)

중간경영자들은 최고경영자 아래에서부터 하부경영자 위까지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여기에는 공장장(plant manager), 마케팅 담당임원(marketing of sales manager), 부서장(section manager) 등이 포함된다. 이들의 핵심역할은 최고경영층의 철학이 회사 전체에 전달될 수 있도록 사원들과 상호작용하는 것이다.

 

 

3) 하부경영자(first-line manager)

하부경영자에는 일선감독자(supervisor), 작업반장(line manager)이 포함된다. 이들은 기술적인 능력을 갖추고 있으면서 주로 사원들의 고충, 일정계획 및 사원들의 행위에 대한 관리책임을 지게 된다.

 

(2)수평적 차원의 분류

1)기능경영자 (functional manager)

이들은 생산이나 판매 등과 같이 담당 기능 부서를 직접 관리하는 경영자로서 우리가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영업부장, 담당, 주임, 작업반장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이들은 맡고 있는 임무에 따라 부장, 차장, 과장이나 대리로 나누어지는데 대기업에서는 이들을 중간관리자라고 부리고도 한다.

 

 

2)전반경영자(general manager)

하부 조직 및 사원들의 전체적인 행위와 결과를 총괄하면서 감독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경영자로서 주로 이사급 이상이 여기에 해당된다. 이들은 특정 역할이나 기능에만 국한하지 않고 회사전체의 전략방향을 결정하고, 다수의 조직과 기능을 총괄한다.

 

 

(3)조직의 발전 과정에 따른 분류

1)소유경영자

기업을 소유하고 있는 사람, 즉 출자자 또는 대주주가 직접 경영에 참여하여 운영, 관리하는 경영자를 말한다. 기업설립 초기에는 소유경영자에 의한 경영이 대부분이다.

 

2)고용경영자

기업의 규모가 커지고 기능과 역할이 확대됨에 따라 소유경영자를 보조하여 특정분야에 대한 지원역할을 수행하는 경영자를 말한다. 이들은 경영자의 속성보다 종업원의 속성을 더 많이 가졌다고 할 수 있다.

 

 

3)전문경영자

경영에 있어서 고도의 기술과 대규모화된 자본이 필요함에 따라 소유와 경영이 분리되는 현상이 나타났으며, 이때 경영의 역할을 담당하는 사람이 전문경영자다.

이들은 종업원의 속성보다 경영자의 속성을 더 많이 지녔다.

 

 

(4)연구대상에 따른 분류

1)경영자 (manager)

대기업에서 상대적으로 안정적이고 정형화된 임무를 수행하는 사람으로서 기존 사업을 담당한다는 점에서 새롭게 기업을 일으킨 창업자와는 구분된다. 우리들이 일반적으로 연구하고 고려대상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경영자라고 할 수 있다.

 

 

2)기업가(entrepreneur, 창업자)

신규사업, 신제품 또는 서비스 개발을 시작하는 위험을 부담함으로써 자유로운 기업시스템 내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을 추구하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 경영승계, 벤처산업, 중소기업, 창업 등에 대한 여구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기업가 (entrepreneur)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728x90